본문 바로가기

    . /Etc'

GMAT


GMAT란 Graduate Management Admisson Test의 약자로서 미국의 ETS라는 시험을 주관하는 단체에서 주관을 하는 시험입니다. 미국의 경영 대학원(MBA or PhD)를 입학 하거나 캐나다, 영국 그리고 유럽으로 유학을 가는데 반드시 필요로 하는 학점, TOEFL, 직장경력, Essay, 추천서 등과 함께 중요한 Requirement 중의 하나입니다. 반드시 경영학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시험은 아니지만 앞으로 경영대학원에서 공부를 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합리성을 Test하는 시험입니다.

 

몇년전 까지만 해도 GMAT가 경영 대학원 입학을 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지는 못했지만, 최근에 와서 학교들이 서로 GMAT점수를 Publish하면서 약간의 대외적 경쟁을 하게 되었고 그래서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무엇인가 객관적인 것을 내세울 수 없는 외국인인 우리 한국 사람들에게는 GMAT 점수가 상대적으로 중요해 졌습니다. 그러나 GMAT 점수가 전부는 아니다. 하나의 Requirements 라고 생각하는게 좋고 특히 CAT 로 바뀌면서 시험 점수가 올라가고 GMAT 점수에대해 많은 Admission Director 들이 Doubt 를 제기 하기 시작한 추세라고 할 수있스비낟. 여하튼 GMAT 점수로 Admission 을 받는 것은 아니고 그밖에 합격할 수 있는 길은 항상 존재하는 것입니다.

2.



1.

GMAT는 섣불리 손대지 말것. 잘못하면 GMAT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고 GMAT는 어렵다는 인상만을 갖게 된다. GMAT를 너무 어렵게 생각해도 안되고 그렇다고 너무 쉽게 기계적으로 생각해도 않된다. 공연히 핵심적인 이해없이 문제만 많이 풀어보면 나중에 모의 Test를 할때 참신성만 떨어지고 가슴만 아프게 된다.


2.

그러므로 시험 준비 기간은 너무 길게 잡지 않는 것이 좋다. 세달에서 최대 네달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물론 시험성적은 그 후에 나올 수도 있다. 한번 공부를 시작하면 Intensive하게 하는 것이 좋다. 물론 1년이상 준비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 사람은 GMAT라는게 정확하게 무엇인지 모르거나 또는 영어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다.


3.

영어 이야기를 하니까 마치 GMAT가 영어 시험인 줄 착각 을 하는데 이는 영어를 잘하나 못하나를 Test 하는 시험이 아니고 이 사람이 갖고 있는 기본 logic을 Test하는 시험이다. 그러나 영어를 아주 못하면 읽지를 못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4.

교재는 Official Guide for GMAT (ETS 출판)과 기출문제 이외는 그 어느것도 보지 말고 영어를 아주 잘 하지 않는한 Cracking the GMAT, KAPLAN, Princeton Review등을 보지않는 것이 좋다.


5.

처음에는 GMAT라는게 도대체 어떤 것인지를 이해하고 두번째는 문제를 풀어 보면서 나름대로 문제의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고 마지막에는 실전 감각을 키우고 특히 시간 Management와 심리적 문제를 훈련을 통해서 익히는 것이 좋다.


6.

첫달 부터는 권하지 않는데 두번째 달 부터는 가능하면 Group Study를 하는것이 좋다. Group Study는 생각보다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단, 제대로 길을 찾아 하는것이 좋다.)


7.

문제의 양에 욕심이 많은 사람들이 많은데 문제의 갯수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려고 시간을 보내라 그리고 나중에 모의 Test 할 문제는 남겨 두는것이 좋다.


8.

GMAT는 무엇인가를 누구로 부터 배워서 익히려고 수동적 생각을 하지말기 바란다. 물론 핵심과 생각하는 형태는 배워야 하겠지만 기본적으로는 생각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GMAT는 여러분들이 평소에 다루어 보지 않았던 Style의 문제들이다. 생각의 틀을 이사람들(ETS)이 요구하는데 맞추기를 바란다.


9.

GMAT와 TOEFL은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TOEFL을 먼저 끝내놓고 그것이 기초가 되어 GMAT 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꼭 그렇지 않다. 오히려 GMAT를 먼저 하라고 권하고 싶다. GMAT를 먼저하면 거의 상관이 없는데도 TOEFL의 Section 2와 Section 3가 쉽게 느껴진다.

      

      10. GMAT 는 어렵다 라는 표현 보다는 다르다 하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 여태껏 여러분들이 한번도 해보지 않은 공부이다. 그래서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 것이 무엇하는 것인지 정확하게 알면 의외로 쉬운 것이 GMAT 이다.

경영대학원 입학시험 (Graduate Management Admission Test, GMAT)은 주로 경영학 석사(Master of Business Adminitration, MBA)학위를 부여하는 경영대학원 입학 시험으로 미국, 유럽에 있는 경영 대학원에서 주로 요구한다. 시험응시료는 미화 $250이며 시험 형태는 컴퓨터 적응식이다.

목차

[숨기기]

[편집] 시험 특징

한국에서 응시시 여권을 신분증으로 사용하며 그밖에 신분증은 받지 않는다. 시험은 수리영역(Quantitative Section), 언어영역(Verbal Section) 그리고 분석적 작문평가(Analytical Writing Assessment)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 분석적 작문 평가(Analytical Writing Assessment, AWA)

분석적 작문 평가(AWA)는 두개의 문제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번째는 논제를 분석 비판하는 것이고 두번째 문제는 한 이슈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쓰는 것이다. 문제 별로 각각 30분이 주어지며 0-6 사이의 점수가 주어진다.

[편집] 수리 영역(Quantitative Section)

75분동안 37문제가 주어지며 중학교 수준의 수리력 측정문제가 나온다.

[편집] 언어 영역(Verbal Section)

75분동안 41문제의 독해, 문장고치기 그리고 논리문제가 나온다. LSAT의 문제와 유사하나 난이도는 낮다.

[편집] 점수

GMAT 성적표

200-800사이에서 점수가 결정된다. 명문 경영대학원 입학을 위해선 700점이상의 득점이 필요하다.

[편집] 외부고리

'    .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슐랭가이드  (0) 2011.05.17
토렌트 사용법 완전정복!  (0) 2010.11.10